풀이
플로이드-워샬 알고리즘을 사용해서 해결했습니다.
자세한건 코드의 주석을 참고해주세요
코드
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
import java.util.StringTokenizer;
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
import java.io.IOException;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final int INF = 987654321;
public static int n, m;
public static int[][] dist;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NumberFormatException, IOException {
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StringTokenizer st = null;
n = 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;
m = 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;
// 문제에서 주어지는 정점은 1부터 시작함
dist = new int[n + 1][n + 1];
for (int i = 1; i <= n; ++i) {
for (int j = 1; j <= n; ++j) {
if (i == j) {
continue;
}
// Integer.MAX_VALUE 사용시 플로이드-와샬 알고리즘 계산 시
// Integer.MAX_VALUE + 어떤 가중치가 될 경우 스택오버플로우가 발생하므로
// Integer.MAX_VALUE보다 작으면서 스택오버플로우가 안나는 값을 사용해야 한다.
// 여기서는 987654321을 사용
dist[i][j] = INF;
}
}
while (m-- > 0) {
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, " ");
int a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int b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int c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// 문제에서 시작 도시와 도착 도시를 연결하는 노선은 하나가 아닐 수 있다고 나와있으므로
// 가장 적은 비용을 갖고있는 노선을 저장시킨다.
dist[a][b] = (dist[a][b] > c) ? c : dist[a][b];
}
// 플로이드-와샬
for (int k = 1; k <= n; ++k) {
for (int i = 1; i <= n; ++i) {
for (int j = 1; j <= n; ++j) {
int distance = dist[i][k] + dist[k][j];
dist[i][j] = (dist[i][j] > distance) ? distance : dist[i][j];
}
}
}
StringBuilder sb = new StringBuilder("");
for (int i = 1; i <= n; ++i) {
for (int j = 1; j <= n; ++j) {
// 갈 수 없는 경우 즉, INF로 되어있는 부분은 문제에서 요구한대로 0으로 바꾸어준다.
sb.append((dist[i][j] == INF) ? 0 : dist[i][j]).append(" ");
}
sb.append("\n");
}
System.out.println(sb);
}
}
'알고리즘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] BOJ 1261번 알고스팟 (0) | 2021.07.30 |
---|---|
[Java] BOJ 1707번 이분 그래프 (0) | 2021.07.25 |
[Java] BOJ 1520번 내리막 길 (0) | 2021.07.23 |
[Java] BOJ 1717번 집합의 표현 (0) | 2021.07.21 |
[Java] BOJ 2580번 스도쿠 (0) | 2021.07.20 |